전체 글 346

말장난

말장난 '말'에 주목해야 레이건(1911 - 2004, Ronald Reagan)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가장 경험도 엷고 지적 호기심도 없는 인물이었다. 이를 증명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단어 사용이 예리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사실 관계’를 헷갈리는 것을 넘어서 교묘한 ‘말장난’에 넘어서 심각한 실수를 저질렀다. 레이건이 정치 무대에 등장한 시기는 세계의 격변기였다. - 위험한 시기였던 것이다. 경제위기가 불어 닥쳤다. 1960년대와 70년대까지 호황을 누리던 자원 부국들이 70년대 중반부터 심각한 침체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들 제3세계 국가들의 채무가 증가하면서 성장 정책에 제동이 걸렸다. 무엇보다 가장 큰 타격을 받았던 국가들은 사회주의 발전 모델을 선택한 이들이었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신봉..

의지

의지 인간은 적응한다, 고로 노예가 된다 인간은 적응한다. 때로 무기력과 절망에도. 1930년대 의 월터 듀란티(Walter Duranty) 기자는 소련 특파원이었다. 그는 스탈린에 대해 곧잘 우호적인 기사를 썼는데, 그 덕에 서방 세계 사람들은 스탈린에게 어떤 매력마저 느꼈다. 급기야 1932년에는 퓰리처상까지 받았다. 스탈린은 ‘악당’이었다. 적어도 우크라이나 사람들에게는.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곡창 지대로 곡물을 수출하던 나라였지만, 1922년 소련으로 편입되면서 황폐한 지역으로 전락했다. 원인을 제공한 것이 스탈린이었다. 스탈린은 집권 후 우크라이나를 경제 부흥에 활용했다. 이 지역의 밀을 수출해서 번 돈으로 소련의 산업화 계획에 착수했다. 계획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당연히’ 굶주려야 했고, 그 ..

신뢰성

신뢰성 바께아노 가우초(gaucho). 남아메리카의 라플라타강(江) 유역과 우루과이강·파라나강 하류 등의 광대한 목축지대인 팜파스의 주민 또는 목동이다. 이들 중에 ‘바께아노(baquia)’라고 불리는 부류가 있었다. 바께아노들은 지형과 길에 해박했다. 사방 2만 레구아(10km)에 있는 평원, 숲, 산을 훤히 꿰고 있다. 그들의 능력이 가장 요긴하게 쓰였던 곳은 군대였다. 군대에서 이들은 장군 옆에 붙어서 지냈는데, 길을 찾아주는 것은 물론 멀리서 다가오는 적들이 일으키는 먼지의 농도를 보고 그 수를 알려주기도 했다. 장군들은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긴 했어도 전적으로 신뢰하진 않았다. 언제든 배신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이 배신하면 부대의 모든 비밀이 적의 수준에 들어갔다. 군대의 명운을 가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