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귀 귀신의 탄생 ‘우리나라 시인들은 서徐나 이李 같은 글자는 일찍이 사용한 사람이 없습니다. 게다가이 사람의 나이가 어리니 필시 시마(詩魔)에 걸렸을 것입니다.’ 허균(1569 ~ 1618)이 쓴 시평서 ‘학산초담’에 실린 이야기다. 시마(詩魔), 즉 시마귀에 걸렸다고 추정되는 인물은 이현욱이었다. 그는 영의정을 지낸 이산해(1539 ~ 1609)에게도 호평을 받았으나 어느 순간 자취도 없이 사라졌다. 허균의 말대로 시마가 떠난 뒤 시를 짓는 재능도 사라져버린 것일까. 1114년(예종9)에 과거에 급제한 정지상(미상~1135)은 시귀(詩鬼)를 만났다. 산속 절에서 공부하던 시절, 달 밝은 밤에 누군가 시를 읊었다. 목소리는 절 건물 뒤쪽에서 흘러나왔다. “스님은 보면서 절이 있나 의심하고, 학은 보면서..